전체 글 344

[리눅스] 명령어(cat, head/tail, more, |, less, nl, find)

1. 명령어1) cat : 파일의 내용을 모두 출력   └ 형식 : cat [옵션] [경로 + 출력할 파일 이름]   └ 옵션(, >>)       ①            (예) cat        ② > : 생성 후 저장           (예) cat /etc/passwd > /filetest       ③ > : 출력 후 저장, Ctrl + D를 이용하여 타이핑한 내용 저장           (예) cat > /home/samadal/a                 I typing                 "Ctrl + D"를 누르면 저장됨!           [이 옵션은 주의해서사용해야 함...!]           경고 문구도 없이 기존에 있던 내용은 사라지고 새로 입력한 내용이 저장(즉, ..

IT공부 2020.12.23

[리눅스] 명령어(rm, man, --help, alias, touch, cal, date)

1. 명령어 1) rm : 파일 또는 디렉터리 삭제(기본 : 파일)    └ 단일 삭제 형식 : rm [옵션] [파일 또는 디렉터리]   └ 다중 삭제 형식 : rm [옵션] [파일 또는 디렉터리1] [파일 또는 디렉터리2] ...   └ 옵션       ① f : 삭제하기 전에 삭제할지 물어보지 않고 삭제 처리       ② r : 파일 또는 디렉터리 하위에 포함되는 것들 모두 삭제   └ rm -rf /home/[없는내용]       f 옵션 때문에 에러 출력이 되지 않아 명령어가 잘 실행된 것처럼 보일 수 있으니 주의하자!       rf 옵션을 사용하여 삭제할 때, 되도록 ls -l 명령어를 이용하여 반드시 확인해보자!   └ [절대 위험! 사용하지 말기!]         명령어 : rm -rf ..

IT공부 2020.12.22

[리눅스] 명령어(mv, mkdir, rmdir)

1. 명령어1) mv(move) : 파일 또는 디렉터리 이동   └ 단일 이동 형식 : mv [원본] [목적지]       다중 이동 형식 : mv [원본1] [원본2] ... [목적지]   └ 사용법은 cp와 동일, 차이점은 디렉터리 옵션을 사용하지 않아도 이동이 가능하다는 점! 2) mkdir(Make Directory) : 빈 디렉터리 생성   └ 형식 : mkdir [옵션] [경로/디렉터리명]   └ 옵션 p : 필요한 경우 부모 디렉터리도 같이 생성3) rmdir(Remove Directory) : 디렉터리 삭제   └ 형식 : rmdir [옵션] [경로/디렉터리명]   └ 옵션 p : 빈 디렉터리만 삭제, 나머진 삭제되지 않음  2. 틸드란?   현재 접속중인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를 의미  3..

IT공부 2020.12.22

[리눅스] 프롬프트 및 PuTTY 화면 설명, 명령어(pwd, cd, ls, cp)

1. 프롬프트  2. # 관리자, $ 일반사용자로 로그인  3. 같은 세션 하나 더 창 띄울 수 있다. : Ctrl + 우클릭 > Dublicate Session 이용, 하나 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창을 띄울 수 있다.  4. 사용자@주소(=IP) 틸드  5. 명령어1) pwd : 현재 위치를 확인2) cd(Change Directory) : 디렉터리 경로를 변경   └ 형식 : cd [경로]   └ 경로의 종류       ① 절대경로 : /(최상위 디렉터리)에서부터 시작       ② 상대경로 : 현재 위치에서부터 시작           └ ./ : 현재 위치, ../ : 상위 디렉터리 3) ls : 디렉터리 안에 있는 내용 확인   └ 형식 : ls [옵션] [경로1] [경로2] ...   └ 옵션 ..

IT공부 2020.12.21

[리눅스] CentOS 설치, 네트워크 IP 수동 설정, Putty 설정

1. CentOS 설치 : Edit virtual machine settings 클릭> Use ISO image file의 Browse 클릭> 기존에 다운받았던 CentOS 이미지 파일 선택> Connect at power on 체크 확인 후 OK 클릭> 이미지 파일이 잘 세팅이 되었다면 Power on this virtual machine 클릭> Install CentOS 7 클릭> 언어 한국어로 설정 후 계속 진행 클릭> 소프트웨어 선택 클릭> 서버 - GUI 사용 선택 후 완료 클릭   └ 선택한 환경의 기능은 추후에 필요할때 설치 가능하니 지금은 시간 많이 걸리니깐 기본 환경만 설치하기로 함)> 설치대상 클릭> 파티션을 설정합니다. 선택 후 완료 클릭> 표준 파티선 선택 후 새 마운트 지점 추가>..

IT공부 2020.12.18

[리눅스] 리눅스 이론 설명, CentOS 이미지 파일 다운, vmware PC 설정

1. 클라이언트(Client)와 서버(Server)  2. 리눅스를 사용하는 이유   IBM이 Radhat Enterprise을 약 34조원의 돈을 들여서 인수한 이유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때문이다.   이 클라우드가 기본적으로 돌아가는 OS가 리눅스이다.   앞으로 클라우드는 더욱 발전하고 대세가 될 것이고 우리가 리눅스를 배워야 하는 이유이다. ** 클라우드란?   네트워크 기기만 있으면 어디서든지 파일을 다운받거나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다.  3. 이 수업을 듣기 위한 필수 사양 체크(가상머신이 문제없이 돌아가기 위한 사양 체크) : 윈도우 로코키 + Pause 단축키 이용   CPU IntelCore i5-5500 이상   RAM 16G 이상   운영체제 64bit ** OS(Operation ..

IT공부 2020.12.18

[IT 통합 기초] 라우터 WIC-2T 모듈 추가, Serial IP 설정, rip(동적) 라우팅 설정

1. 라우터(그 라우터에는 스위치와 PC가 연결되어 있음) 추가하기 : 라우터 0에 라우터를 추가하려고 시도했으나 더이상 연결할 수 있는 FastEthernet이 없다.   (즉, 현재 라우터를 추가 연결할 수 없는 상태) ** 이런 경우 어떻게 해야할까?   모듈을 추가해줘야 한다...!!   그러나 아래의 사진과 같이 라우터가 켜있는 상태에서는 모듈 추가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라우터를 꺼줘야 한다. ** [필수] 라우터를 끄기 전에 기존에 했던 작업들을 반드시 저장해준다.   왜? 방금한 작업들이 날라가기 때문이다.   Router> en   Router# copy r s   위의 명령어 작성 후 엔터 ** 라우터0 종료 후 WIC-2T 모듈 추가 ** 라우터1 종료 후 WIC-2T 모듈 추가 ** 라..

IT공부 2020.12.16

[IT 통합 기초] 라우팅 테이블 확인, static(정적) 라우팅 설정 및 관련 명령어

1. 현재 상태의 문제점 : 192.168.11.129에서 10.10.10.1까지의 ping은 되는데, 192.168.11.129에서 10.10.10.2까지는 ping이 가지 않는다.  2. 1번 문제 상태를 해결하기 전, 10.10.10.2 라우터에 스위치와 PC 추가1) PC와 스위치 : FastEthernet0, FastEthernet0/1 2) 스위치와 라우터 : FastEthernet0/2, FastEthernet0/0  3. IP 설정1) PC의 IP 설정   IP Address 192.168.11.128   Subnet Mask : 255.255.255.0 2) 라우터의 IP 설정, IP 설정 확인① 라우터의 IP 설정    en   conf t   interface fastEthernet ..

IT공부 2020.12.15

[IT 통합 기초] 라우터 인터페이스에 IP 지정

1. 라우터 : PC와 스위치 사이에는 연결 시킨 뒤 조금만 기다리면 알아서 초록색 불로 들어온다.   현재 라우터와 스위치 사이에는 빨간불로 사용 불가능한 상태이다. ** 라우터는 스위치와는 달리 기다려도 사용할 수 없고 무언가를 설정해줘야 사용 할 수 있다.   라우터는 3계층 장비이고 3계층 장비들은 아이피를 사용하게 된다.   즉, 라우터도 아이피를 사용한다는 뜻이다. ** 라우터 설정할때 선택한 FastEthernet0/0은 인터페이스라고 부른다.   실제 컴퓨터 뒤에 랜선(=인터넷)을 꽂는데가 있듯이   라우터도 마찬가지로 선을 꽂는데가 있는데 그 곳의 이름이 FastEthernet0/0이다. ** FastEthernet0/0 인터페이스에 아이피를 넣어줘야 라우터가 사용 가능하다.   아이피를..

IT공부 2020.12.11

[IT 통합 기초] 허브와 스위치의 차이점

1. Port Label 보이게 설정 : 현재 아래의 사진과 같이 Port Label이 안보는 상태> Options > Preferences ... 클릭> Always Show Port Labels 체크> 확인해보면 Port Label 보이게 설정된 상태...!  2. 스위치(switch)가 무엇인지 알기 위해 아래와 같이 세팅해줬다.   [중요한 점] 아래 3개의 PC는 IP 대역을 맞춰줘야 한다.  3. 시뮬레이션 모드에서 192.168.11.1에서 192.168.11.2으로 ping 보내기 : 시뮬레이션 모드로 변경> IP 192.168.11.1 컴퓨터 더블클릭 > Desktop 탭 > Command Prompt 클릭  4. Capture / Forward 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보기1) ARP는 I..

IT공부 2020.12.1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