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T공부

[리눅스] CentOS 설치, 네트워크 IP 수동 설정, Putty 설정

shine94 2020. 12. 18. 19:40

1. CentOS 설치

 : Edit virtual machine settings 클릭
> Use ISO image file의 Browse 클릭
> 기존에 다운받았던 CentOS 이미지 파일 선택

> Connect at power on 체크 확인 후 OK 클릭

> 이미지 파일이 잘 세팅이 되었다면 Power on this virtual machine 클릭

> Install CentOS 7 클릭

> 언어 한국어로 설정 후 계속 진행 클릭

> 소프트웨어 선택 클릭
> 서버 - GUI 사용 선택 후 완료 클릭
   └ 선택한 환경의 기능은 추후에 필요할때 설치 가능하니 지금은 시간 많이 걸리니깐 기본 환경만 설치하기로 함)

> 설치대상 클릭
> 파티션을 설정합니다. 선택 후 완료 클릭

> 표준 파티선 선택 후 새 마운트 지점 추가
> swap은 2048, /은 빈 칸으로 마운트 지점 추가 클릭

> 파일 시스템 ext4 선택 후 완료 클릭 > 변경 사항 적용 클릭

 

** 윈도우의 C 드라이브가 리눅스의 /이고, 윈도우의 D 드라이브가 리눅스의 swap이다.

 

** 윈도우의 C 드라이브에는 OS가 설치되어 있고 리눅스의 최상위 디렉터리에 OS가 설치되어 있다.
   윈도우에 파티션을 나눌때 C와 D로 나누는 경우도 있지만 C드라이브로 통째로 OS를 설치해도 된다.
   └ 왜 가능해?
       윈도우 특징 중 자동적으로 일부 저장공간을 숨겨서 가상 메모리로 사용할 수 있게 세팅되어 있다.
   └ 왜 숨겼어?
       윈도우 업데이트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된다.
       사용 가능한 공간이란 말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이다.
       이 공간은 실제 사용할 수 있는 공간과 차이가 생기면 모순으로 인해 에러가 발생한다.
       만약 시스템 OS를 초기화 하고 업데이는 하는 과정에 해당 모순으로 시스템이 꺼졌다고 생각해보자.
       그럼 해당 PC는 OS가 망가졌기 때문에 앞으로 사용할 수 없을 것이다.
       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시스템 OS를 업데이트할 때에는 멈추면 안된다.
   └ 만약 모순으로 인한 에러가 발생하려고 한다면..?
       그때 윈도우에서는 자동적으로 가상메모리가 활성화가 되어 부족한 공간을 빌려주고
       업데이트가 끝나면 사용했던 가상메모리는 다시 돌아온다.

 

** 윈도우에서는 자동으로 가상메모리가 잡히지만 리눅스에서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잡아줘야 한다.
   리눅스에서의 가상메모리가 지금 우리가 메모리를 잡아준 swap이다.(즉, swap = 가상메모리)

 

> 설치 시작 클릭

> GUI로 선택하여 설치하는 것이기 때문에 시간이 오래 걸림
   root 암호 클릭 > 암호는 P@ssw0rd로 설정 > 완료 클릭

> 사용자 생성 클릭
> 성명, 사용자 이름, 암호 설정 후 완료 클릭(성명, 이름 : samadal, 암호 : 1)

> 설치가 완료되면 재부팅 버튼이 활성화, 해당 버튼 클릭

> 라이센스 동의 후 설정 완료 클릭
   네트워크는 지금 말고 나중에 설정할 예정

> root(관리자 계정으로 로그인)

> 한국어로 선택, 입력 따로 설정 변경하지 말기, 개인정보 끔, 온라인 계정 연결 건너뜀 > 리눅스 OS 설치 완...!

 

 

2. 디렉터리 구조

   / : 최상위 디렉터리
   /home :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의 기본 경로
   /root : 관리자의 홈 디렉터리
   /etc : 시스템 관련된 것이 들어있는 디렉터리
   /usr/bin == /bin : 기본 명령어가 들어있는 디렉터리
   /sbin : 시스템 관련된 명령어가 들어있는 디렉터리(관리자)

 


3. 네트워크 자동으로 켜질 수 있도록 설정

   현재 네트워크 설정은 수동으로 설정되어 있다.
   그렇기 때문에 지금 켜주더라도 시스템 종료 후 재부팅해주면 네트워크가 꺼진다.
   이러한 번거로움을 없애기 위해 자동으로 연결 체크해주면 네트워크가 자동으로 켜지도록 설정된다.


 : 시스템 도구 > 설정 클릭
> 네트워크 선택 후 톱니바퀴 클릭

> 자동으로 연결 체크 후 적용 클릭 > 그럼 네트워크가 켜진 것을 볼 수 있다...!

 

 

4. IP 확인
 : 바탕화면 우클릭 > 터미널 열기 클릭
> ifconfig 명령어 이용, 기재되어 있는 IP(192.168.10.129) 확인...!

 


5. vmware IP 설정

 : Edit 선택 후 Virtual Network Editor 클릭
> Change Settings 클릭

> 별표한 두 개의 항목은 반드시 체크, Subnet IP와 Gateway IP 설정 후 Apply 클릭 > OK 클릭
   [중요] 별표한 두 개의 항목이 체크가 안되어 있으면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없다.
           └ 과거 별표한 두 개의 항목 중 하나가 체크가 누락된 적이 있었는데, 이 때문에 한참 고생한 적이 있다.

 

 

6. 절전 모드 해제

 : 시스템도구 > 설정 클릭
> 전원 이동 후 안함으로 선택

 

 

7. 네트워크 IP 수동 설정

 : 시스템도구 > 설정 클릭
> 네트워크 클릭 > 네트워크 끈 다음 톱니바퀴 클릭

> IPv4 탭 클릭 > 수동 체크 > 주소, 서브넷 마스트, 게이트웨이, DNS 설정 후 적용 클릭
   IP : 192.168.1.128
   Subnet Mask : 255.255.255.0
   게이트웨이 : 192.168.1.2
   DNS : 192.168.1.2
> 껐던 네트워크를 다시 킨다.

> 터미널 열어서 설정이 잘되어 있는지 IP 확인하기...!

 

 

8. 원격 프로그램 Putty 설정

 : 해당 프로그램 다운은 기존 IT통합기초 참고(https://shine94.tistory.com/189?category=891556)

> 글꼴 모양 변경
   Cursor blinks(커서 깜빡이 할건지 묻는 것임) 체크,
   Font의 Chang 클릭 > 글꼴은 Consoles, 글꼴 스타일 굵게, 크기 14로 지정

> 글꼴 색상 변경
   Default Foreground 선택 > Modify 클릭 > 흰색 선택 후 사용자 지정 색에 추가 클릭

> 전체 화면 단축키 추가
   Full screen on Alt-Enter 체크

> [반드시 설정] 한글을 사용하기 위해 UTF-8로 설정 필요!!

> [반드시 설정] SSH의 Kex의 우선순위는 아래의 그림과 같이 해줘야 한다...!

> Session > Host Name(or IP address)에 아까 수동으로 설정했던 IP 기재
> 방금 설정한 설정들을 "리눅스서버"의 이름으로 저장 후 Open 클릭

> 처음 원격 시도를 했기 때문에 보안경고가 뜸, 예 클릭
> 로그인 화면 창 뜸, root 사용자로 로그인
   아래와 같은 화면 창이 나왔으면 정상적으로 연결...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