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T공부

[IT 통합 기초] 프티 설치 및 설정, 기초 명령어

shine94 2020. 9. 4. 16:39

1. PuTTY

 : 원격 접속 프로그램,

   실습에서는 윈도우10에서 vmware의 리눅스(CentOS)로 원격 접속할 때 사용

 

 

2. PuTTY 프로그램 설치

 : 구글에 putty 검색 후 Download PuTTY 클릭

> You can download PuTTY 옆에 있는 here 클릭

> Alternative binary files의 자신의 운영체제에 맞게 putty.exe 다운

> 별도의 설치 과정 없이 다운 받으면 사용 가능

 

 

3. PuTTY를 사용하기 위한 기본 세팅

1) 커서 깜빡임 체크하기

 : Window > Appearance > Cursor blinks 체크

2) 글꼴 바꾸기

 : Window > Appearance > Change... 클릭

> 원하는 글꼴 선택 후 확인 클릭

3) Alt + Enter를 누르면 전체화면 전환 설정

 : Window > Behaviour > Full screen on Alt-Enter 체크

4) 수신한 데이터 character-set 설정 utf-8로 변경

 : Window > Translation > Remote character set을 UTF-8로 변경

5) 키 교환

 : SSH > Kex > Diffie-Hellman group 14를 Up 버튼을 이용하여 맨 위로 올린다

6) 세션 저장

 : Session > Host Name에 원격접속 할 IP를 입력(리눅스IP) > Saved Sessions에 이름 입력 후 Save 클릭

 

 

4. PuTTY로 리눅스 원격 접속하기

 : 방금 만든 세션 선택 후 Open 클릭

[그러나, Connection timed out 발생] : VMware 어댑터가 없기 때문에 발생한 에러...!

[어떻게 확인?]

단축키 윈도우 + R 실행 창 열기 > ncpa.cpl을 입력하면 네트워크 연결 > vmware 어댑터가 없는 것을 확인 가능

[어떻게 해결?]

원래 VMware를 설치하면 자동으로 같이 생성되나 지금 상황은 생성이 되지 않았다.

네트워크 설정을 초기화 하고 다시 설정하면 문제 해결된다.

[초기화 설정?]

VMware의 메뉴 Edit > Virtual Network Editor ... 클릭 > Restore Defaults 클릭

> ip 설정이 초기화 > 기존에 설정했던 것처럼 Subnet IP와 Gateway IP의 세 번째 항목을 10으로 변경

[제대로 어댑터가 생성됬는지 확인해보자...!]

단축키 윈도우 + R 실행 열기 > ncpa.cpl을 입력하여 네트워크 연결 창 확인

> 이제 vmware 어댑터가 생긴 것을 확인 가능

[다시 PuTTY를 이용하여 리눅스 접근해보자...!]

보안 경고창이 뜸, OK 클릭 > 아래의 사진과 같이 로그인 창이 뜨면 접속 성공...!

[접속에 성공했으니 로그인을 해보자...!]

아이디 root, 패스워드 P@ssw0rd 틀리지 않게 입력하면 로그인, 완벽하게 리눅스에 원격 접속이 되었다...!

[잊지말자...!]

원격 접속된 PuTTY는 리눅스 터미널과 완전히 일치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.

 


5. 기초 명령어
   ifconfig : 자신의 현재 네트워크 어뎁터의 IP를 확인하는 명령어
   ping [IP] : 입력한 IP와 정상적으로 연결이 되는지 확인하는 명령어
   reboot : CentOS 재부팅 명령어

   clear : 터미널 창을 깨끗하게 청소해주는 명령어
   pwd : 자신의 현재 위치를 출력해주는 명령어
   ls : 자신의 현재 위치에 있는 디렉터리의 내용물을 출력

   cd : 자신의 현재 경로를 바꿔주는 명령어

 

 

6. /안에 들어있는 디렉터리(/ = 리눅스에서 최상위 디렉터리 = 리눅스의 모든 파일의 시작점)
   /boot : 부팅 과정에 필요한 정보 파일들의 경로
   /usr : 시스템이 아닌 일반 사용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디렉터리
   /var : 각종 로그(log)파일들의 경로
   /home : root가 아닌 일반 사용자들의 디렉터리
   /etc : 각종 서버설정에 필요한 모든 파일들의 정보가 들어 있는 디렉터리
   /bin : 기본적인 명령어의 실행파일이 들어있는 디렉터리
   /sbin : 관리자용 명령어의 실행파일이 들어있는 디렉터리

 

 

7. 리눅스의 디렉토리는 윈도우 폴더와 비슷한 개념이며 리눅스에서는 폴더라고 부르지 않는다.

 

 

8. PuTTY를 이용한 VMware 리눅스 종료

 : 명령어 poweroff 입력 > 에러 창이 뜸, 그러나 확인 버튼 클릭하면 원격 종료됨과 동시에 VMware 리눅스도 종료